본문 바로가기

기술정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 전선 없는 전력 공급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태양광, 배터리, 풍력, 압전소자, 와이파이, 온도계를 표현한 그림

전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모으는’ 기술

우리가 전기를 얻는 방법은 보통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선으로 공급받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2025년 현재, 새로운 개념의 전력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입니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말 그대로 주변에 버려지는 미세한 에너지를 수집해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바람, 햇빛, 진동, 열, 전파 등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하게 흘려보내는 에너지를 모아 소형 전자기기를 구동하거나 센서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죠.

 

이 기술의 매력은 단순합니다. 배터리 교체나 전선 연결 없이도 기기가 스스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IoT 센서, 웨어러블, 의료기기, 심지어 스마트시티 인프라까지도 이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하베스팅의 원리

에너지 하베스팅은 크게 세 단계로 동작합니다.

  1. 에너지 수집 : 주변 환경에서 에너지를 포착합니다. (예: 진동, 열, 빛, 전자파)
  2. 전력 변환 : 수집한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합니다. (예: 열 → 전기 변환, 기계 진동 → 전기 변환)
  3. 전력 저장 및 관리 : 변환된 전기를 바로 사용하거나, 축전 장치(슈퍼커패시터, 소형 배터리)에 저장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에너지 하베스팅의 주요 종류

1. 태양광 하베스팅 (Solar Energy Harvesting)

  • 원리 : 태양빛을 태양전지(PV Cell)로 전환
  • 장점 : 높은 에너지 밀도, 기술 성숙도 높음
  • 활용 : 태양광 계산기, 스마트워치, 실외 IoT 센서

2. 진동·기계적 하베스팅 (Vibration / Piezoelectric Harvesting)

  • 원리 : 압전소자(Piezoelectric Material)가 진동이나 압력을 받아 전기를 생성
  • 활용 : 철도 선로, 다리, 기계 설비의 진동 감지 센서
  • 예시 : 기계의 작동 진동만으로 센서 전력 공급

3. 열 하베스팅 (Thermoelectric Harvesting)

  • 원리 : 온도 차(Seebeck 효과)를 이용해 전기를 생성
  • 활용 : 산업 배관, 발전소 폐열 재활용, 웨어러블 체온 발전
  • 예시 : 인체 체온으로 구동되는 스마트밴드

4. RF(전파) 하베스팅 (Radio Frequency Harvesting)

  • 원리 : 주변 무선 전파(Wi-Fi, LTE, 5G 신호 등)를 포착해 전기 변환
  • 활용 : 무전원 IoT 센서, RFID 태그
  • 한계 : 전력량이 매우 적어 초저전력 기기에만 적합

5. 공기·유체 흐름 하베스팅

  • 원리 : 바람이나 물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소형 터빈으로 전환
  • 활용 : 하수관 센서, 실내 공기흐름 센서 전원 공급

에너지 하베스팅의 장점

  1. 유지보수 최소화 – 배터리 교체 불필요
  2. 친환경성 – 재생 가능 에너지 활용
  3. 설치 자유도 – 전선 연결 없이 어디든 설치 가능
  4. 장기 비용 절감 – 유지·관리 비용 감소
  5. 안전성 향상 – 전선 없는 구조로 화재·감전 위험 낮음

적용 분야와 실제 사례

IoT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의 센서가 수백~수천 개에 달할 경우, 배터리 교체는 비효율적입니다. 에너지 하베스팅을 적용하면 10년 이상 유지 가능한 무전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사례 : 덴마크 코펜하겐의 스마트 가로등 – 태양광+풍력 하베스팅으로 자가 전력 공급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워치, 피트니스 밴드가 태양광 또는 체온 발전을 통해 충전 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합니다.

  • 사례 : Garmin Instinct Solar – 태양광 하베스팅으로 배터리 수명 최대 수개월 연장

산업 설비 모니터링

기계 진동을 전기로 바꿔 설비 상태 모니터링 센서 전원을 공급, 무선 상태 감시 시스템 구축

  • 사례 : GE의 압전 하베스팅 기반 무전원 산업 센서

의료기기

체온 발전으로 심박 측정 센서, 인슐린 펌프 등 웨어러블 의료기기 전력 공급

  • 사례 : MIT의 체온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패치

에너지 하베스팅의 한계

  1. 출력 전력 제한 – 수 μW~mW 수준, 대형 기기에는 부적합
  2. 환경 의존성 – 빛, 진동, 열 등 환경 조건이 일정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
  3. 변환 효율 – 기술 발전에도 여전히 100% 변환 불가능
  4. 설계 복잡성 – 초저전력 설계 기술 필요

향후 전망

  • 저전력 반도체 기술과 결합 → 적은 에너지도 효율적으로 활용
  • 다중 하베스팅 시스템 → 태양광+진동, 체온+전파 등 복합 수집
  • 스마트시티 핵심 인프라 → 도시 전역에 무전원 센서 설치 가능
  • 의료·헬스케어 확장 → 인체 친화형 에너지 수집 기기 개발

시장조사기관 IDTechEx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9% 이상 성장하며, 특히 IoT·웨어러블 부문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선 없는 세상을 향해

에너지 하베스팅은 ‘새로운 에너지원’이라기보다,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지능적인 방식입니다.

비록 대형 전자제품을 구동할 만큼의 전력을 생산하지는 못하지만, 초저전력 IoT 시대에는 배터리 의존도를 낮추고, 유지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혁신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의 우리는 이미 스마트워치와 무전원 센서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기술이 우리 도시와 생활 전반에 스며드는 날, 전선 없는 세상은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닐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