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정보

개인연금 세액공제 중복 활용법 – IRP+연금저축(같이 쓰면 공제가 더 된다? 연금 세액공제 최대로 받는 꿀팁)

 

연금저축, IRP 텍스트와 금융 및 재테크를 연상하는 저금통, 은행, 화폐, 계산기를 포함한 그림

연말정산 시즌마다 후회하지 않으려면, 연금 세액공제를 이해하자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누구나 공통적으로 검색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바로 “세액공제”.

특히 20~40대 직장인이나 프리랜서에게 가장 유용한 세액공제 항목 중 하나가 개인연금 관련 공제입니다.

 

그중에서도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은 각각 따로도 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같이 활용하면 세액공제를 ‘중복 적용’할 수 있는 유일한 금융 상품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두 상품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세액공제를 절반만 받고 있는 상황도 많습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연금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으려면 이 두 상품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IRP와 연금저축,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공제를 받을까?

연금저축과 IRP 모두 납입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노후 준비 금융 상품입니다.

하지만 두 상품은 제도적 성격과 활용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연금저축

  • 보험사/증권사/은행에서 가입 가능
  • 노후 연금 수령 목적
  • 연 400만 원까지 납입금의 13.2% (또는 16.5%) 세액공제
  • 최소 5년 이상,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 수령 가능

IRP(개인형 퇴직연금)

  • 직장인뿐 아니라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가입 가능
  • 퇴직금 수령 계좌로도 활용됨
  •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단,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700만 원 한도)
  • 투자상품 선택 가능 (예: ETF, 채권형 펀드 등)

즉, 두 상품을 합산해서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이를 연말정산에서 13.2% 또는 16.5% 비율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세율은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라면 16.5%, 초과 시 13.2%입니다.


최대 공제를 받는 납입 전략 – 월 얼마씩 납입해야 할까?

가장 효율적인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연금저축에 400만 원, IRP에 300만 원을 나누어 납입하는 것이 기본 전략입니다.

구분연간 납입액세액공제율최대 공제액

구분 연간납입액 세액공제율 최대공제액
연금저축 400만 원 13.2~16.5% 최대 66만 원
IRP 300만 원 13.2~16.5% 최대 49.5만 원
합계 700만 원 - 최대 115.5만 원

 

즉, 매월 약 58만 원 정도를 꾸준히 납입하면 1년에 최대 115만 원 이상을 세금으로부터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연간 납입액 기준 총급여에 따라 적용되는 세액공제율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입니다. 

연금저축 납입액 IRP 납입액 납입액 세액공제(16.5%) 세액공제(13.2%)
0 0원 0원 0원 0원
0 1,000,000원 1,000,000원 165,000원 132,000원
0 2,000,000원 2,000,000원 330,000원 264,000원
0 3,000,000원 3,000,000원 495,000원 396,000원
1,000,000 0원 1,000,000원 165,000원 132,000원
1,000,000 1,000,000원 2,000,000원 330,000원 264,000원
1,000,000 2,000,000원 3,000,000원 495,000원 396,000원
1,000,000 3,000,000원 4,000,000원 660,000원 528,000원
3,000,000 0원 3,000,000원 495,000원 396,000원
3,000,000 1,000,000원 4,000,000원 660,000원 528,000원
3,000,000 2,000,000원 5,000,000원 825,000원 660,000원
3,000,000 3,000,000원 6,000,000원 990,000원 792,000원
4,000,000 0원 4,000,000원 660,000원 528,000원
4,000,000 1,000,000원 5,000,000원 825,000원 660,000원
4,000,000 2,000,000원 6,000,000원 990,000원 792,000원
4,000,000 3,000,000원 7,000,000원 1,155,000원 924,000원

 

하지만 갑자기 큰 금액을 납입하기 부담스럽다면, 연금저축 월 25~30만 원 + IRP 월 15~20만 원 정도로 쪼개서 자동이체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실제 적용 전략 – 어떤 순서로 준비하고, 어떤 상품을 고를까?

연금상품을 준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추천드립니다.

1단계 : 연금저축 먼저

  • 보험형보다 증권사 연금저축펀드가 수익률과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
  • 기본공제 대상자(소득 있는 배우자, 자녀)가 있다면 배우자 명의로 나누어 가입도 고려

 2단계 : IRP 추가

  • 연금저축에서 공제 한도를 채운 후 IRP 가입
  • IRP는 ETF, 채권펀드 등 투자성 상품 포트폴리오 구성 가능

3단계 : 수령 계획까지 세워두기

  •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소득세 3.3~5.5%로 낮게 과세
  • 일시 인출 시 퇴직소득세, 기타 소득세 등 추가 과세 주의
  • 절세효과를 높이려면 계좌 해지보다는 연금으로 수령하는 것이 필수

주의사항 –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조건과 해지 리스크

아무리 세액공제가 크더라도, 아래 항목은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 ✅ 중도 해지 시 공제받은 세액을 모두 추징
  • ✅ 납입 중단 시에도 유지 기간 충족하지 못하면 연금으로 수령 불가
  • ✅ 보험사 연금저축은 해지 시 환급률이 낮아 손실 가능성
  • ✅ IRP는 자산 구성이 자유롭지만, 수수료와 운용 방식 체크 필수

따라서 연금 상품은 단기 재테크 수단이 아닌, 10년 이상을 바라보는 장기 절세+노후전략 수단으로 접근해야 진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합이 될 때 빛난다

요즘처럼 물가가 높고 세금 부담도 커지는 시기에는, 조금이라도 절세할 수 있는 전략이 진짜 ‘재테크’입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단독으로도 유익하지만, 같이 활용하면 더 큰 시너지가 납니다.

 

특히 연말정산 시즌이 되기 전, 지금부터 꾸준히 자동이체를 설정해두면 12월에 갑자기 목돈을 준비할 필요 없이 세액공제를 챙길 수 있습니다.

 

노후 준비는 물론이고, 당장 올해의 ‘돌려받는 세금’을 위한 똑똑한 선택.

오늘 당장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점검하고, 내년 환급액을 미리 예측해 보세요.

그 한 걸음이, 미래의 여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