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정보

차세대 패키징 기술 – CoWoS, Foveros, 3D 패키징의 현재와 미래

반응형

반도체 패키징을 표현한 그림

반도체 한계를 넘는 새로운 집적 혁신 전략

 

차세대 패키징?

반도체 산업은 지난 수십 년간 무어의 법칙(Moore’s Law)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즉, 반도체 집적도는 약 18~2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성능은 높아지며 가격은 낮아진다는 법칙입니다.

 

하지만 5nm, 3nm, 2nm와 같은 초미세 공정에 다다르면서, 기술적·경제적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 더 미세한 선폭 구현에 따른 공정 난이도와 비용 폭등.
  • 누설 전류 증가, 발열 문제 심화.
  • 공정 수율 하락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이런 한계 상황에서 주목받는 돌파구가 바로 차세대 패키징(Advanced Packaging)입니다.

즉, 반도체 성능 향상을 더 이상 트랜지스터 미세화에만 의존하지 않고,

패키징 기술을 통해 다수의 칩을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CoWoS, Foveros, 3D 패키징이 있으며, 이는 AI 반도체·고성능 컴퓨팅(HPC)·데이터센터·모바일 등 모든 첨단 산업에서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1. 패키징 기술의 진화

1) 전통적 패키징 (2D 패키징)

  • 단일 칩(SoC)을 기판 위에 실장
  •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이나 플립칩(Flip Chip) 방식 사용
  • 한계: 단일 칩 크기와 집적도에 의존 → 확장성 부족

2) 2.5D 패키징

  • 실리콘 인터포저(Silicon Interposer)를 이용해 여러 개의 칩렛(Chiplet)을 연결
  • 대표 기술 : TSMC CoWoS (Chip-on-Wafer-on-Substrate)
  • 장점 : 대역폭 확대, 발열 분산, 유연한 칩 설계 가능

3) 3D 패키징

  • 칩을 수직(Stack)으로 쌓아 TSV(Through-Silicon Via)로 연결
  • 대표 기술 : 인텔 Foveros, 삼성 X-Cube
  • 장점 : 공간 절약, 초고속 연결, 전력 효율 개선

2. 주요 차세대 패키징 기술

(1) CoWoS (Chip-on-Wafer-on-Substrate) – TSMC

  • 구조: 칩렛 여러 개를 실리콘 인터포저 위에 올리고, 이를 기판(Substrate)에 접합
  • 특징
    • 초고대역폭 메모리(HBM)와 GPU/CPU를 근접 배치
    • AI 반도체용 대용량 연산에 최적화
  • 적용 사례
    • NVIDIA H100/H200 GPU
    • AMD Instinct MI300
  • 강점 : 메모리와 프로세서 간 대역폭 ↑, 병목 현상 최소화
  • 한계 : 인터포저 제작 비용 상승, 대형 칩의 수율 문제

(2) Foveros – Intel

  • 구조 : 로직 칩을 수직으로 적층(3D 스태킹), TSV와 마이크로 범프(Micro-bump)로 연결
  • 특징
    • 서로 다른 공정 노드의 칩을 결합 가능 (예: 고성능 로직 + 저전력 IO)
    • 이기종 집적(Heterogeneous Integration) 구현
  • 적용 사례
    • 인텔 Lakefield 프로세서
    • 차세대 서버·PC CPU
  • 강점 : 전력 효율, 공간 활용 극대화
  • 한계 : 발열 관리가 까다로움, 공정 난이도 높음

 


(3) X-Cube – 삼성전자

  • 구조 : 로직 칩 위에 메모리(예: SRAM, HBM)를 적층
  • 특징
    • TSV 기반 3D 패키징
    • 로직-메모리 통합 설계로 고성능 연산 가능
  • 적용 사례
    • 차세대 AI SoC, HPC 반도체
  • 강점 : 낮은 레이턴시, 고대역폭
  • 한계 : 발열·공정 난이도 문제 인텔과 유사

(4) 기타 기술

  • InFO (Integrated Fan-Out, TSMC) : 모바일 칩 패키징, 경량화 강점.
  • EMIB (Embedded Multi-Die Interconnect Bridge, Intel) : 소규모 인터포저 삽입으로 비용 절감.
  • Fan-Out 패키징 (FO-WLP, FO-PLP) : AP, 모바일, IoT 기기용.

3. 차세대 패키징이 중요한 이유

1) 무어의 법칙 한계 극복

  • 트랜지스터 미세화 한계를 패키징으로 보완
  • 칩 성능 향상 경로 다변화

2) 이기종 집적

  • CPU, GPU, 메모리, AI 가속기 등 서로 다른 기능 칩을 통합
  • 시스템 온 칩(SoC)보다 유연한 설계 가능

3) AI·HPC 최적화

  • AI 학습·추론에는 초고속 메모리 대역폭 필수
  • HBM + GPU/AI 칩 결합은 CoWoS의 대표 성공사례

4) 전력 효율

  • 데이터 이동 거리를 줄여 전력 소모 최소화
  • 모바일·웨어러블 기기에 적합

4. 실제 적용 사례

1) NVIDIA H100 GPU

  • TSMC CoWoS 기반
  • HBM3 메모리와 GPU를 인터포저로 연결
  • AI 연산 대역폭 극대화

2) AMD Instinct MI300

  • CPU + GPU + HBM 통합
  • 차세대 슈퍼컴퓨터에 적용

3) Intel Lakefield

  • Foveros 3D 패키징
  • 저전력 모바일 기기에 활용

4) 삼성 X-Cub

  • 메모리-로직 적층
  • 모바일 AP, AI 칩에 적용 예정

5. 시장 동향과 전망

  • 2025년 차세대 패키징 시장 규모 : 약 500억 달러
  • 연평균 성장률(CAGR) : 10% 이상
  • 성장 요인
    • AI·HPC 수요 폭증
    •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 전기차, 자율주행, 5G/6G 인프라 성장
👉 차세대 패키징은 단순한 조립 기술이 아니라, 반도체 성능 향상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입니다.

6. 한계와 도전 과제

  1. 발열 관리 : 3D 패키징에서 열 집중 현상
  2. 공정 수율 : 대형 인터포저, TSV 적층의 불량률 문제
  3. 비용 증가 : 첨단 패키징 설비 투자 필요
  4. 표준화 부족 : UCIe 같은 통합 인터페이스 표준 확산 필요

7. 미래 전망

단기 (2025~2030)

  • AI·HPC 칩 대부분 CoWoS, Foveros 기반
  • 스마트폰·모바일에도 Fan-Out, X-Cube 확대

중기 (2030~2040)

  • 패키징이 반도체 성능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
  • 칩렛(Chiplet) 표준화, 생태계 확산

장기 (2040년 이후)

  • 완전한 3D 적층 반도체 시대 개막
  • 집적도는 더 이상 트랜지스터가 아닌 패키징 혁신으로 결정

패키징이 반도체의 미래를 바꾼다

과거 반도체 성능 경쟁은 “누가 더 작은 공정을 먼저 구현하는가”의 싸움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누가 더 효율적인 패키징을 통해 시스템을 최적화하는가”가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 TSMC CoWoS → AI·HPC 시장 주도
  • Intel Foveros → 이기종 집적 및 서버 CPU 강화
  • 삼성 X-Cube → 메모리 강점을 살린 3D 통합

앞으로 반도체의 성패는 단순히 트랜지스터 수가 아니라, 패키징 설계와 생태계 구축 역량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